지식재산권 뉴스
플라스틱 폐기물,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해결!
- 작성일2022/05/17 09:25
- 조회 1,034
플라스틱 폐기물,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해결! |
- 생분해 플라스틱 관련 특허출원 5년 만에 2배 증가 - |
# 코로나19 이후 일회용 마스크, 장갑, 배달용 포장재 등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량 폭증과 이로 인한 환경과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. 플라스틱 폐기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대표적인 것이 썩는 플라스틱, 즉 생분해 플라스틱이다. 이는 미생물에 의해 기존 플라스틱보다 훨씬 빠르게 분해된다.
|
□ 코로나19 장기화로 플라스틱 폐기물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생분해하는 기술개발이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.
ㅇ 앞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업계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.
【세계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전망】 | ||
시장조사업체인 ‘360i리서치’에 따르면, 전 세계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은 ’20년 51억달러(약 5조6,814억원)에서 ’25년 89억달러(약 9조9,146억원)로 2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. |
□ 특허청(청장 김용래)에 따르면, 생분해 플라스틱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5년간(‘16~’20) 연평균 18% 증가하여,
2016년 97건에서 2020년 190건으로 5년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.[붙임 1]
ㅇ 출원인 국적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, 내국인은 최근 5년간(’16~’20) 꾸준히 증가세를 지속하여
’16년 78건에서 ’20년 158건으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, 외국인은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.[붙임 2]
- 특히, 코로나 19가 시작된 ‘19년 이후 외국인에 의한 출원은 감소 추세인 반면 내국인에 의한 출원은 꾸준히 증가하여 대조를 이룬다.
□ 출원인별 출원비중을 살펴보면(‘16~’20), 기업에 의한 출원 비중이 68%를 차지하여 출원을 선도하고 있다.
개인(14%)과 대학(12%)의 출원 비중은 유사하며, 연구기관은 5%를 차지한다.[붙임 3]
ㅇ 한편, 개인에 의한 출원 비중이 2019년 11.7%에서 2020년 18.9%로 증가하였는데,
이는 코로나 19 이후 급증한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개인들의 높아진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.[붙임 4]
ㅇ 다출원 순위는 엘지화학(24건), 삼양사(15건), 한국화학연구원(14건), 롯데케미칼(14건),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(12건), 바스프(9건) 순으로
기업과 연구기관이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.[붙임 5]
□ 최근 4년간(’16~’19) 주요 출원인(다출원 1~6순위)이 사용한 생분해 플라스틱의 원료를 기준으로 살펴보면,
에스테르계 47건(60.3%), 카보네이트계 16건(20.5%), 이들을 혼합한 혼합계 5건(6.4%), 기타10건(12.8%)으로 에스테르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.[붙임 6]
ㅇ 출원인 국적별 에스테르계 출원 비중은 내국인이 51.7%인 반면,
외국인이 88.9%를 차지하여 외국 기업의 기술개발이 에스테르계에 훨씬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[붙임 7, 8]
- 내국인 출원 비중도 ’16년 31.3%, ’17년 53.8%, ’18년 40.0%, ’19년 71.4%로 점차 증가하고 있어,
외국 기업과 마찬가지로 우리 기업의 기술개발도 에스테르계에 집중되는 추세이다.
□ 특허청 고분자섬유심사과 김종규 심사관은
“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급격히 증가한 플라스틱 폐기물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규제로 말미암아
친환경 플라스틱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바,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및 특허권 확보가 중요하다”고 말했다.
<출처: 2022년 5월 16일 대한민국 특허청 보도자료>
- 첨부1 097 [특허청] 플라스틱 폐기물,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해결.pdf (용량 : 316.0K / 다운로드수 : 218)